부동산 감정사 1차 시험 합격에 도움이 된 공부법

안녕하세요. 랜딧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감정평가사 일정과 과목별 공부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서 지은이의 공부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부동산 감정평가사 일정을 확인하시고 그에 맞게 시간을 투자하셔서 시험에 합격하시길 바랍니다.

4. 시험 과목별 공부 비율은 어떻게 되셨나요? 안 감정평가사: 그럼 부동산 이론과 감정평가(부동산 감정평가 관련 법률)를 같이 공부하셨나요, 아니면 따로 공부하셨나요? 지은: 거의 동시에 했지만, 저는 1차 독해에서는 감정평가를 먼저 공부했습니다.

부동산 이론을 공부하면서 감정평가도 계속 복습해야 했기 때문에 두 과목을 거의 동시에 공부했습니다.

안 감정평가사: 그럼 감정평가를 먼저 한 번 읽고 그다음 2~3주 정도 부동산 이론에 집중하셨다고 하셨죠. 그럼 지금 평가학을 공부하고 회계, 민법을 복습할 때, 이 과목들의 공부 비율을 어떻게 나누셨나요? 지은: 저는 평가학은 강의만 듣고 공부했어요. 하루에 한두 시간 정도만 감각을 공부했고, 나머지 시간은 대부분 회계, 경제, 민법을 복습했어요. 평가자: 감각은 거의 공부하지 않았어요. 이유가 있나요? 지은: 우선 감각이 내용이 너무 많아서 처음에는 좀 부담스러웠어요. 그래서 최대한 미루고 싶었어요. 강의 듣는 걸 우선으로 했고, 노트는 했지만 복습은 별로 안 했어요. 평가자: 그럼 회계, 민법을 복습하는 데 하루에 8~10시간 정도 투자했어요. 그때 불안하지 않았나요? 지은: 네, 그때가 가장 힘들었어요. 회계, 민법을 많이 공부했는데 감각은 공부를 충분히 못 하는 건 아닐까 불안했어요. 평가자: 3월에 감각론 강의를 다 끝내고, 처음으로 아카데미 이론도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아카데미 이론, 회계, 민법, 감각론에 대한 공부 비율을 어떻게 분배해서 복습했나요? 지은: 저는 감각론을 하루에 두 개의 법률로 공부했고, 1~2시간 정도 투자했어요. 아카데미 이론도 꾸준히 공부했는데, 하루에 한 강의씩 1~2시간씩 공부했어요. 회계, 경제학, 민법은 개념이 중요한 과목이라, 이 세 과목에 하루에 7시간 정도 투자했어요. 평가자: 그럼 회계, 경제학, 민법에 각각 2.5시간씩 투자한 것 같네요. 지은: 네, 맞아요. 그렇게 과목별로 시간을 분배해서 공부했어요. 5. 각 과목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복습하시나요? 평가자: 그런데 이렇게 보면 회계는 복습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철저히 공부한 것 같은데, 평가(평가 관련 법률)는 계속 뒤처진 것 같아요. 그렇게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지은: 저는 시간을 많이 투자하지 않았어요. 대신 법규를 최소 두 개는 읽기로 마음먹고, 매일 두 개씩 읽으면서 읽는 횟수를 늘렸어요. 처음에는 다 외운다는 마인드로 접근해서 방황하고 답답했지만, 점점 더 많이 읽고 문제를 풀다 보니 자연스럽게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읽는 횟수를 계속 늘리면서 공부했어요. 안 평가자: 그럼 10월부터 전체적인 일정은 어떻게 잡았나요? 과목별로 공부 비중을 정리했어요. 과목별로 어떻게 공부했고, 복습은 어떻게 했는지 간단히 물어보겠습니다.

먼저 회계는 강의를 들으면서 어떻게 복습했나요? 지은: 회계는 강의를 들으면서 먼저 서브노트를 정리했어요. 한 번 읽고 두 번 읽기 시작했을 때는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처음부터 노트를 다시 읽고 과거 시험 문제를 풀기 시작했습니다.

과거 시험 문제에서 막힌 부분이 있으면 그 개념을 하위 노트에 추가하고 독해 횟수를 늘렸습니다.

그런 다음 과거 시험 문제에서 막혔던 문제를 확인하고 두 번째, 세 번째 독해 때 그 문제를 반복해서 풀면서 점차 문제 수를 줄였습니다.

안 평가자: 그런 다음 두 번, 세 번째, 네 번째 독해 때 하위 노트를 읽고 과거 시험 문제를 푸는 과정을 반복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전에 막혔던 문제만 반복해서 풀면서 점차 문제 수를 줄였습니다.

지은: 네, 맞습니다.

막혔던 문제가 풀리기 시작했을 때는 그 문제들을 제외하고 새로운 문제에 집중했습니다.

그래서 독해 횟수가 점점 줄었습니다.

안 평가자: 그럼 일정을 보면 민법은 한 번, 감각은 한 번, 학문론은 한 번 읽어서 총 4번 읽었나요? 지은: 네, 맞아요. 첫 번째 독해까지 포함해서 총 4번 정도 읽었던 것 같아요. 6. 과거 기출문제로 공부할 때 팁이 있나요? 안 평가자: 그럼 이 문제들은 주로 과거 기출문제로 공부한 건가요? 지은: 네, 처음에는 랜덤으로 문제를 풀까 생각했는데 시간이 부족해서 못 풀었어요. 그래서 주어진 과거 기출문제를 부지런히 풀기로 했어요. 과거 기출문제를 반복해서 푸는 데 익숙해졌어요. 안 평가자: 회계 점수가 55점으로 꽤 좋은 점수예요. 회계 공부에 있어서 학생들에게 강조하고 싶은 게 있나요? 지은: 네, 회계에서 ‘원가 회계’는 절대 포기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원가 회계를 포기하는 사람이 많은데, 저는 원가 회계가 재밌어서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었어요. 또 시험 문제를 풀 때는 풀 수 있는 문제를 파악하고 어려운 문제는 과감하게 건너뛰는 연습을 하는 게 중요해요. 평가자: 문제를 빨리 건너뛰는 연습이 중요하다는 건 좋은 팁이네요. 그럼 경제학은 어떻게 공부했나요? 지은: 회계처럼 경제학도 서브노트를 만들었어요. 개념을 정리하면서 바로 옆에 있는 문제를 풀어서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했어요. 노트를 읽으면서 막힌 문제는 반복해서 풀고, 바로 이전 시험 문제는 풀었어요. 그렇게 이전 시험 문제를 한 번씩 읽었어요. 읽을 때마다 서브노트를 읽고 교과서에 있는 이전 시험 문제를 풀고, 막힌 부분은 서브노트에 추가하고, 표시된 문제는 반복해서 풀었어요. 평가자: 그럼 서브노트를 읽으면서 활용하고, 이전 시험 문제에서 막힌 부분을 다시 한 번 복습했나요? 경제학 공부에 도움이 된 다른 방법이 있나요? 지은: 네, 3단계의 A퀴즈가 큰 도움이 되었어요. 그 퀴즈를 풀면서 경제 개념을 굳건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어요. 오늘은 부동산 감정평가사 일정에 따른 공부 방법을 설명해드렸어요. 내용이 길어서 추후 포스팅에서 설명드리겠습니다.

1) 3년 이내 합격자 전원 2) 2차 1차 합격률 50% 3) 34등 합격자 전년 대비 254%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