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발전 전략

세계 3대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 강국으로 도약하다 2023.10.31 산업통상자원부 10월 31일(화) 오후, LS가 그 역할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을 찾았다.

신재생에너지 확대 때문이다.

일렉트릭월드(글로벌) 연구개발(R&D) 캠퍼스(경기도 안양 소재)를 방문 에너지저장 산학연 컨퍼런스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저장장치(ESS)’를 발표했다.

산업 발전 전략” 이번 발전 전략의 핵심 내용은 에너지저장장치(ESS)이다.

10차 전력수급 기본 10차 전력수급 기본 : 기술을 기반으로 유연한 전력시스템을 구현하고, 2036년까지 글로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점유율 35% 달성 및 세계 3대 에너지저장장치 국가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SS) 산업은 미국, 중국과 함께 강세다.

계획에 따르면, ’30년까지 소요되는 에너지저장설비 총 3.7GW를 ’25년부터 연간 600MW 비율로 선제적으로 확보하고, 특히 2026년에는 저탄소 중앙계약시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신재생에너지 과잉 발전으로 시스템 안정성이 시급한 호남지역. 2020년까지 1.4GW를 조달해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할 계획이다.

세계 최고의 기술을 보유한 리튬삼원계 배터리의 초격차 경쟁력을 유지하고, 인산철리튬(LFP) 배터리 양산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향후에는 저비용, 고효율이 가능한 플로우 배터리, 나트륨황(NAS) 배터리, 압축공기 저장, 열저장, 양수발전 등 장주기 기술을 중심으로 저장 믹스를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안전성과 대용량을 확보하고 수출 및 해외진출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외출

첨부파일(첨부) 에너지저장장치(ESS) 산업발전 전략.pdf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내 컴퓨터에 저장

네이버 MYBOX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