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수당이 오른다!
6개월간 통상임금의 100%
안녕하세요 MG새마을금고입니다.
최근 정부에서는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다.
2024년 상반기부터 아빠, 엄마가 어린 자녀를 돌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이 도입됩니다.
육아휴직제도가 도입된다고 합니다.
MG 새마을금고는 어떤 모습일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육아휴직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육아휴직 수당은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 조건과 상한액은 어떻게 되나요?
새롭게 도입되는 육아휴직 제도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육아휴직 혜택이 무엇인지, 일반 육아휴직 혜택 조건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육아휴직 급여는 8세 미만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에게 자녀 양육을 위해 제공되는 급여입니다.
이는 육아휴직 기간 동안 급여를 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반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의 80%이며, 월 최대 70만원~150만원까지 지급 가능하다.
이때 육아휴직 급여 금액은 25%로, 직장 복귀 후 6개월이 지나면 일시금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6+6 육아휴직 제도 도입!
새로운 육아휴직 제도가 도입되었습니다!
최초 6개월간 통상임금 100% 지급!
2024년 상반기에 새로운 육아휴직 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바로 6+6 부모 육아휴직 제도입니다.
지난해 도입된 3+3 육아휴직 제도는 부모가 생후 12개월 이내에 자녀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돌볼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휴직 시 최초 3개월간은 부모 각자에게 통상임금의 100%를 지급하는 제도이다.
이에 정부는 6+6 육아휴직 제도를 확대·개편해 자녀의 연령에 따라 특례 적용 기간을 3개월에서 6개월까지로 늘렸다.
생후 12개월에서 생후 18개월 이내까지로 확대됐다.
부모 6+6 육아휴직 제도가 도입되면, 부모가 18개월 미만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첫 6개월 동안은 부모 각자가 자녀 통상임금의 100%를 받게 된다.
육아휴직 혜택을 받게 됩니다.
육아휴직 수당 상한액도 인상되었습니다!
육아휴직 수당은 최대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기존 3+3 부모 육아휴직 제도가 6+6 부모 육아휴직제로 개편되면서 육아휴직 혜택 상한도 상향됐다.
3+3 육아휴직 제도의 경우 월 최대 200만~30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었으나, 6+6 육아휴직 제도가 도입되면서 부모는 월 최대 200만~4.5만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월 만원. 다만 상한액은 매달 50만원씩 늘어난다고 한다.
6+6 육아휴직 임금계산법 육아휴직 임금을 올바르게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예시를 통해 좀 더 자세히 확인해 보겠습니다.
부모가 함께 육아휴직을 사용한 경우, 정상임금 이월액이 450만원을 초과하면 첫 달에는 200만원을 지급한다.
400만원을 받은 후 2개월째 250만원, 앞으로 6개월간 500만원, 6개월간 450만원씩 총 900만원을 받게 된다.
이번 육아휴직 제도 확대·개편은 부모의 공동양육 유인을 높이고 ‘함께 돌봄’ 문화 확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한 것입니다.
출산을 고려하고 있는 신혼부부들에게 좋은 소식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새롭게 도입된 육아휴직 제도를 통해 아빠와 엄마가 어린 자녀를 함께 돌볼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길 바랍니다!
다양한 채널을 통해 MG새마을금고의 소식을 확인해보세요!